1. 고용률 뜻
15세 이상 생산가능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로, 실질적인 고용창출능력을 나타낸다. 취업인구비율이라고도 불린다.
예를 들면 고용률이 70%라고 하면 100명 중 70명이 취업자라는 의미이다.
이러한 고용률은 실업률 통계에서 제외되는 비경제활동인구 수를 포함해 계산하므로 구직을 단념했거나 노동시장에 빈번히 들어오고 나가는 반복실업 등에 의한 과소 추정의 문제를 해결한다.
2. 비교되는 개념 - 실업률
고용률을 이야기할 때 항상 같이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바로 실업률이다.
실업률은 경제활동 인구 중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3. 실업률과 고용률
실업률과 달리, 고용률은 15세 이상 인구를 기준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고용률은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간의 이동 등에 따른 경제활동인구수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고용률도 근로시간이 18시간 미만인 단시간 근로자 및 일시휴직자 등 불완전취업자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국민들이 체감하는 고용 상황과 차이를 보일 수 있다.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8 | 고통지수 (misery index) (0) | 2022.08.26 |
---|---|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7 | 고정금리 (fixed rate) (2) | 2022.08.25 |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5 | 경상수지 (current account balance) (0) | 2022.08.17 |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4 | 경기동향지수 (diffusion index) (0) | 2022.08.16 |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3 | 가산금리 (Additional interest / Spread) (0) | 2022.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