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9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29 | 만기 수익률 (YTM, Yield to Maturity)

1. 만기 수익률 뜻 만기수익률이란 채권 시장에서 시장이자율과 함께 자주 사용되는 용어로, 보유기간이 만료가 되는 경우의 채권 수익률을 말한다. 즉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할 경우 받게 되는 총 수익이 투자원금에 대하여 1년에 얼마의 수익을 얻는지 나타내는 예상 수익률이다. 일반적으로 채권수익률은 만기 수익률을 지칭한다. 또한 특정한 채권의 유통금리, 시장이자율, 내부수익률 등을 뜻하기도 한다. 영어로는 yield to maturity, YTM 이다. 2. 만기 수익률(채권 수익률)의 특징 채권 수익률은 발행된 이후 총 수여금액(액면가와 이자)는 고정되어 있지만 계속해서 시장에서 거래되기 때문에 매입 가격이 달라진다. 따라서 채권의 가격은 달라질 수 밖에 없다. 채권의 가격과 채권 수익률의 가격은 반비례 한..

Economy 2022.12.10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28 | 레버리지 효과 (leverage effect)

1. 레버리지효과(leverage effect) 뜻 레버리지 효과란 차입금 등 타인의 자본을 끌어와 자기자본이익률을 높이는 것으로, 타인의 자본을 지렛대로 삼는다고 하여 지렛대 효과라고도 불린다. 지렛대를 이용하면 적은 힘으로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다. 레버리지 효과는 이를 경제 상황에 빗대어서 하는 표현이다. 예를 들어, 10억의 투자 자본으로 사업을 했을 때 1억의 순이익을 봤다면 10%의 자기자본이익률을 갖게 된다. 그런데 만약 자신의 자본 5억과 타인의 자본 5억을 투자자본으로 하여 1억의 순이익을 봤다면 자기자본이익률은 20%가 된다. 차입금 등의 금리보다 더 높은 수익률이 기대된다면 타인의 자본으로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이득이다. 하지만 과도하게 타인의 자본으로 투자한다면 요즘같이 금리가..

Economy 2022.12.06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27 | 디플레이션 (deflation)

1. 디플레이션 뜻 디플레이션(deflation)이란 일정 기간동안 전반적인 물가가 하락하고 경제 활동이 침체되는 현상이다. '수축시킨다/ 공기를 뽑는다'를 의미하는 deflate에서 나온 말이다. 물가의 하락 뿐만 아니라 생산 감소와 실업 증가가 수반되어 경기 순환이 하강국면에 이른다. 반대되는 말로는 인플레이션이 있다. 2. 디플레이션의 원인 디플레이션의 정확한 원인이 이것이다 라고 단정지을 수 없다.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도 디플레이션의 원인으로 꼽는 것이 제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많은 경제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은행 신용의 급격한 수축과 총 지출의 부족이 물가수준의 하락을 가져오는 중요한 원인이라고 꼽는다. 3. 디플레이션 케이스? 일상 생활을 살아오면서 현재 인플레이션이다라는 말은 많이 들어봤어..

Economy 2022.11.11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26 | 디커플링 (decoupling)

1. 디커플링 뜻 디커플링(decoupling)은 한국어로 하면 탈동조화, 즉 주변의 움직임과는 다르게 독자적으로 움직이는 현상을 말한다. 쉽게 말하면 '반대의 흐름을 보이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 국가의 경제는 인접한 다른 국가, 보편적인 세계 경제의 흐름과 비슷하게 흘러가고 이를 동조화(coupling) 이라고 한다. 그러나 간혹 주변국 혹은 국제적 흐름과 다르게 경제상황이 흘러가는 경우가 있고 이런 때 디커플링이 예측된다고 한다. 국가 경제에 전반적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주가와 금리 등 일부 요소에 나타나기도 한다. 2. 커플링과 디커플링 케이스 커플링은 경제의 나비효과 라고도 할 수 있다. 종종 미국 증시가 재채기하면 우리 시장은 감기에 걸린다고들 한다. 이런 경우가 커플링의 대..

Economy 2022.11.04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25 | 더블딥 (double dip)

1. 더블딥 뜻 더블 딥(double dip) 이란, 불황에 빠졌던 경기가 단기간 동안 잠시 회복했다가 다시 불황에 빠지는 상태를 말한다. 사람들은 흔히 더블딥을 침체의 늪이라고도 지칭한다. 경기 사이클에 따라 그래프를 그려보았을 때, 불황에 빠졌다가 회복했다가 불황에 빠지는 상태가 마치 영어 알파벳 W자형처럼 그려지고, 2번 아래로 내려가는 형태를 따라 '더블 딥' 이라 명명한 것이다. 2. 더블딥 현상이 일어나는 과정 더블딥은 보통 정책 실패 또는 시장 실패의 결과로 본다. 연이어 하락하는 경제를 살리기 위해 정부는 통화 확장 정책을 시도한다. 이에 따라 시장에 현금이 유통되면서 잠시 확장국면에 진입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머지 않아 전처럼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곧바로 경기가 수축국면으로 이..

Economy 2022.10.14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24 | 대체재 (Substitutional goods)

1. 대체재 뜻, 대체재와 대체제 구분법 대체재는 영어로 substitutional goods 이다. 일단 정확한 표기법부터 헷갈리기 쉬운 단어이다. '대체제'와 '대체재'의 차이를 아는 사람이 많지 않고 헷갈리기 쉽기 때문이다. '대체재'는 서로 대신 쓸 수 있는 관계에 있는 2가지 재화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쌀과 밀가루, 볼펜과 연필, 버터와 마가린 등등이다. '대체제'는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물품을 의미한다. 흔히 사용되는 경제용어는 바로 '대체재'이고, 관련된 개념으로는 보완재가 있다. 경제용어로서의 대체재 역시 서로 다른 재화임에도 같은 효용가치를 가질 수 있는 재화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런 재화들은 어느 하나의 가격이 오르거나 부족해지면 반대의 재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Economy 2022.10.04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23 | 대외의존도 (foreign dependency)

1. 대외의존도 뜻 대외의존도란 개방경제체제 하의 국민경제에서 국외부문과 거래가 차지하는 크기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쉽게 말하자면 총 수요 중 수입과 수출 등 대외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한다. 대외의존도를 계산하는 식은 아래와 같다. 좀 더 쉽게 이야기하자면 무역액(수출과 수입을 합한 금액)에서 국내총생산(GDP)를 나누어 %로 환산한다. 2. 대외의존도가 높은 경우 일반적으로 대외의존도가 높다는 것은 국내보다 국제 경제상황에 더 많은 영향을 받게 될 수 밖에 없어 불안정한 요인으로 꼽힌다. 주로 수출 위주의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는 국가들은 대외의존도가 높게 계산된다. 우리나라도 수출 중심으로 경제가 돌아가는 국가로 대외의존도가 높은 편에 해당된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싱가포르, 홍콩 등의 도시국가..

Economy 2022.09.28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22 | 단기금융시장 (short-term money market)

1. 단기금융시장 뜻 단기금융시장은 만기가 1년 이내인 금융상품이 거래되는 시장이다. 영어로는 short-term money market 이다. 금융기관과 기업 등 경제주체들이 단기적인 자금수급 불균형을 조절하기 위해 조성된 시장이다. 단기자금을 쉽게 조달하거나 운용할 수 있어 유동성이 높으며, 단기금융상품 역시 금리변동위험이 크지 않고 유동성이 높다. 주식, 채권 위주로 거래된다. 중안은행의 통화정책이 파급되는 시발점이 되는 역할을 한다는 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시장이다. 금융시장을 구분할 때 거래되는 금융상품의 만기를 기준으로 금융시장을 구분하기도 한다. 이때 만기가 1년 이상인 금융자산이 거래되는 시장을 장기 금융시장 또는 자본시장(capital market) 이라고 하고, 만기가 1년 이내의 금..

Economy 2022.09.26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21 | 낙수효과 (Trickle Down Effect)

1. 낙수효과 뜻 낙수효과는 영어로 tricke down effect 이다. trickle은 물방울이 똑똑 떨어지다 라는 뜻이다. 즉 tricke down은 물이 흘러내려서 바닥을 적신다는 표현을 빗대어서 한 것이다. 낙수이론은 정부가 대기업에 대한 투자를 증가시키면 경기가 부양되어 그 효과가 중소기업과 저소득층에게까지 생기며, 결국 총체적으로 국가의 경기를 자극해 국민 복지와 경제 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이론이다. 낙수효과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부유한 계층이 가져가는 파이의 크리를 따지기보단, 그 전에 전체 파이의 크기를 키워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또한 낙수효과는 분배보다 성장을 우선시한다. 미국의 제 41대 대통령 부시가 낙수이론에 근거해 경제정책을 채택했었다. 2. 낙수효과 무용론 그러나 세계 각 국..

Economy 2022.09.24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20 | 기회비용 (oppertunity cost)

1. 기회비용 뜻 기회비용이란 어떠한 선택으로 인해 포기하게 된 기회들 중 가장 큰 가치를 갖는 기회 자체 혹은 그러한 기회가 가지는 가치를 의미한다. 쉽게 말해 내가 한 선택으로 인해 지불해야 하는 혹은 포기해야 하는 대가라고 생각할 수 있다. 영어로는 oppertunity cost라고 한다. 인간의 환경은 시간, 돈, 에너지 등의 측면에서 제한적인 자원이 주어진다. 이런 제한적인 상황에서 인간은 다양한 기회를 모두 선택할 수 없다. 따라서 어떤 기회의 선택은 나머지 다른 기회들에 대한 포기를 의미한다. 2. 기회비용 계산 사람은 늘 합리적으로 선택하려고 한다. 주어진 환경 속에서 합리적으로 선택했는지 보려면 가장 적은 비용을 치르며 만족은 가장 높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합리적으로 선택했는지 파악하려..

Economy 2022.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