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기동향지수 뜻
경기동향지수(diffusion index, DI) 란 향후 경기를 예측하고 판단하기 위한 경기변동 측정방법 중 하나이다.
경기종합지수와 달리 경기변동의 속도나 진폭을 측정하지 않고, 변화의 방향만 파악하여 경기확산지수라고도 한다.
경기 변동이 경제의 특정 부문으로부터 시작되어 점차 전체 경제부분으로 확산, 파급되는 과정을 경제 부분을 대표하는 각 지표들을 통하여 파악하고자 하는 지표이다.
계절 변동과 불규칙 변동이 제거된 각 구성지표들 중 증가의 방향으로 움직인 지표수가 전체 지표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백분비로 나타낸 것이다,
현재 구성지표는 경기종합지수(CI)와 동일한 지표인 선행, 동행 10개, 후행 6개 지표를 이용하여 작성되고 있다.
경기동향지수(DI)가 기준선인 50%를 넘으면 경기는 확장국면에, 50%보다 낮으면 수축국면에, 50%이면 경기전환점이 되는 시점으로 판단한다.
그 중에서도 50%를 아래에서 위로 넘어가는 지점은 경기의 피크(peak, 정점)으로 보고, 50%를 위에서 아래로 넘어가는 지점은 경기의 보텀(bottom, 바닥)으로 본다.
2. 경기동향을 알아야 하는 이유?
경기 동향을 알아야 하는 목적은 3가지이다.
첫째, 현재 금융 경기의 실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둘째, 해당 분야의 경제 정책이나 경제 활동이 잘 돌아가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셋째, 현재를 바탕으로 향후의 금융 경기 움직임을 전망하기 위해서이다.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6 | 고용률 (employment-population ratio) (0) | 2022.08.19 |
---|---|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5 | 경상수지 (current account balance) (0) | 2022.08.17 |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3 | 가산금리 (Additional interest / Spread) (0) | 2022.08.14 |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2 | 코스닥 KOSDAQ (0) | 2022.08.13 |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1 | 코스피 KOSPI 란? (2) | 2022.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