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급탄력성 뜻
공급탄력성(elasticity of supply)이란 가격이 몇% 변동할 때 그에 대한 공급량이 몇% 변화하느냐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공급량의 변화율에 가격의 변화율을 나눠서 측정한다.
2. 공급탄력성의 의미
상품의 공급량은 보통 그 상품의 가격에 의존하고 있어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량이 증가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공급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공급 탄력성은 근본적으로 가격의 하락과 상승에 따라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생산자의 능력에 달려있다.
공급탄력성이 클수록 가격상승효과는 적고, 반대로 탄력성이 클수록 가격상승효과가 크다.
만약 1%의 가격 상승이 1% 이상의 공급량 상승을 가져오면 공급은 탄력적이라 하고, 1%의 가격 상승이 1%보다 적은 공급량 상승을 가져오면 공급은 비탄력적이라고 한다.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13 | 국가신용등급 (sovereign credit ratings) (0) | 2022.09.07 |
---|---|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12 | 공매도(Short Stock Selling) (0) | 2022.09.04 |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10 | 공공재 (Public Goods) (0) | 2022.09.01 |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9 | 골디락스 경제 (Goldilocks Economy) (0) | 2022.08.29 |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8 | 고통지수 (misery index) (0) | 2022.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