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y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25 | 더블딥 (double dip)

myowneconomy 2022. 10. 14. 12:52

 

1. 더블딥 뜻

더블 딥(double dip) 이란, 불황에 빠졌던 경기가 단기간 동안 잠시 회복했다가 다시 불황에 빠지는 상태를 말한다.

 

사람들은 흔히 더블딥을 침체의 늪이라고도 지칭한다.

 

경기 사이클에 따라 그래프를 그려보았을 때, 불황에 빠졌다가 회복했다가 불황에 빠지는 상태가 마치 영어 알파벳 W자형처럼 그려지고, 2번 아래로 내려가는 형태를 따라 '더블 딥' 이라 명명한 것이다.

 

 

2. 더블딥 현상이 일어나는 과정

더블딥은 보통 정책 실패 또는 시장 실패의 결과로 본다.

 

연이어 하락하는 경제를 살리기 위해 정부는 통화 확장 정책을 시도한다.

 

이에 따라 시장에 현금이 유통되면서 잠시 확장국면에 진입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머지 않아 전처럼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곧바로 경기가 수축국면으로 이어지면 다시 경기 하락세가 시작되는 것이다.

 

당장 눈 앞에 닥친 경기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조급하고 전면적인 금융정책 전환 대신 근본적이면서도 점진적인 대책이 필요한 중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머니투데이 유튜브 참조)

 

대표적인 더블 딥 사례는 1979년 오일쇼크 사태가 있다.

 

 

 

출처: https://www.busan.go.kr/news/column/view?dataNo=27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