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외의존도 뜻
대외의존도란 개방경제체제 하의 국민경제에서 국외부문과 거래가 차지하는 크기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쉽게 말하자면 총 수요 중 수입과 수출 등 대외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한다.
대외의존도를 계산하는 식은 아래와 같다.
좀 더 쉽게 이야기하자면 무역액(수출과 수입을 합한 금액)에서 국내총생산(GDP)를 나누어 %로 환산한다.
2. 대외의존도가 높은 경우
일반적으로 대외의존도가 높다는 것은 국내보다 국제 경제상황에 더 많은 영향을 받게 될 수 밖에 없어 불안정한 요인으로 꼽힌다.
주로 수출 위주의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는 국가들은 대외의존도가 높게 계산된다.
우리나라도 수출 중심으로 경제가 돌아가는 국가로 대외의존도가 높은 편에 해당된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싱가포르, 홍콩 등의 도시국가는 3자리수의 대외의존도를 가질 정도로 높다.
대한민국은 전 세계에서 대외의존도가 높은 국가로 10위 안에 든다.
한정적인 자원과 비교적 넓지 않은 국토로 인해 수출 위주로 경제가 돌아가서 그런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반면 대외의존도가 낮은 국가로는 일본(30%)이 있다.
대외의존도가 높은 국가는 세계 경제의 흐름과 함께 간다.
IMF나 2008년 세계금융위기때 우리나라가 어려운 상황에 처했던 것도 이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대외의존도를 낮추기 위해선 구매력있는 중산층이 탄탄해져야 한다.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25 | 더블딥 (double dip) (0) | 2022.10.14 |
---|---|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24 | 대체재 (Substitutional goods) (2) | 2022.10.04 |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22 | 단기금융시장 (short-term money market) (2) | 2022.09.26 |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21 | 낙수효과 (Trickle Down Effect) (0) | 2022.09.24 |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20 | 기회비용 (oppertunity cost) (1) | 2022.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