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k3GLB/btrMdGIZPbU/lcNsKgmkvFQaCUBq2FZDQk/img.png)
1. 기준금리 뜻
기준금리는 쉽게 말하자면 기준이 되는 금리이다.
영어로는 base rate 이다.
대출을 받을 경우 은행에 대해 이자를 내야 하는데 이 때 이자를 얼마나 내야 하는지 비율로 정해놓은 것을 금리 혹은 시중금리라고 한다.
기준금리는 이런 시중금리의 기준이 된다.
각 국가 금융기관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물가 동향, 국내외 경제상황, 금융시장의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한다.
우리나라에선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의 회의를 통해 결정된다.
금통위의 구성 위원은 한국은행 총재, 부총재와 한국은행 총재 추천인, 기획재정부 장관 추천인, 금융위원회 위원장 추천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추천인, 전국은행연합회 회장 추천인(총 7먕)으로 구성된다.
중앙은행과 일반 시중의 은행들의 거래금리라고도 할 수 있다.
2. 기준금리의 영향
일반 시중의 은행들은 중앙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려온다.
이 때,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게 되면 시중 은행들이 내야 하는 이자가 커지고, 이로 인한 손실을 막기 위해 일반인이나 기업들로부터 더 많은 대출이자를 걷으려고 한다.
이로써 대출 이자율이 올라가게 되고 궁극적으로는 실물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즉 기준금리가 오르면 시중금리도 오르고, 기준금리가 내리면 시중금리가 내려간다.
시중금리는 기준금리에 비례하여 변하는 것이다.
3. 2022년 현재의 상황은? 고금리시대의 현황
지난 달, 한국은행은 통상적으로 0.25%P씩 오르고 내리던 기준금리를 사상 처음으로 0.5%P 올리는 '빅스텝'을 처음으로 단행했다.
3차례 연속해서 금리를 올리는 것도 전례없던 상황이다.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24년만에 소비자물가지수가 6% 상승했다.
이런 상황에서 시중에 흐르는 돈의 양을 조절하여 물가를 안정시키고자 한 결정으로 보인다.
![](https://blog.kakaocdn.net/dn/E0TLC/btrMeF3tToQ/WnaXsbDsK74YMK2vybHGp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TYeu5/btrMecf9sQj/Pu1EacPfoIUARfsqpYoNw0/img.png)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20 | 기회비용 (oppertunity cost) (1) | 2022.09.20 |
---|---|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19 | 기축통화 (key currency) (1) | 2022.09.17 |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17 | 기업공개 (initial public offering) (0) | 2022.09.14 |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16 | 금산분리(seperation of industrial and financial capital) (0) | 2022.09.13 |
알기 쉬운 핵심 경제용어 15 | 금본위제 (gold standard) (0) | 2022.09.12 |